추슝 이족 자치주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추슝 이족 자치주는 윈난성 서부에 위치하며, 쿤밍 시, 다리 바이족 자치주 등과 접경하고, 산악 지형이 주를 이룬다. 1957년 추슝 전구의 16개 현을 통합하여 설립되었으며, 2개의 시(추슝 시, 루펑 시)와 8개의 현으로 구성된다. 2000년 인구 조사에서 한족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며, 이족이 그 뒤를 잇고, 그 외 리수족, 먀오족 등 다양한 소수 민족이 거주한다. 철도로는 원곤선, 광다선이 지나가고, 쿤다 고속도로, 징쿤 고속도로, 항루이 고속도로 등과 국도가 주요 교통망을 이룬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추슝 이족 자치주 - 위안머우 원인
위안머우 원인은 약 170만 년 전 중국에서 발견된 호모 에렉투스 화석 유적으로, 중국에서 가장 오래된 인류 화석 증거 중 하나이며, 아시아 호모 에렉투스 확산 연구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지만, 분류학적 위치와 연대에 대한 논쟁이 있다. - 윈난성의 자치주 -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
더훙 다이족 징포족 자치주는 중화인민공화국 윈난성에 위치하며 미얀마와 국경을 접하고, 1956년에 자치주로 승격되었고, 다양한 민족이 거주하며 커피 재배가 활발하다. - 윈난성의 자치주 - 다리 바이족 자치주
다리 바이족 자치주는 중국 윈난성 중서부에 위치하며 오랜 역사와 아름다운 자연, 다양한 민족 구성, 그리고 독특한 바이족 문화를 간직한 자치주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이족 자치지방 - 량산 이족 자치주
량산 이족 자치주는 쓰촨 성 최남단에 위치한 이족 자치주로, 시창 시를 수부로 두고 험준한 산악 지형과 절벽 마을, 다양한 민족 구성, 그리고 역사적인 행정 구역 변화를 특징으로 한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이족 자치지방 - 양비 이족 자치현
윈난성 다리 바이족 자치주에 있는 양비 이족 자치현은 1912년 양비현으로 설치된 후 1985년 이족 자치현으로 개편되었으며, 윈난성 중서부의 양비강 상류에 위치하여 고속도로와 국도를 통해 외부와 연결된다.
추슝 이족 자치주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개요 | |
![]() | |
공식 명칭 | 楚雄彝族自治州 (추슝 이족 자치주) |
유형 | 자치주 |
위치 | 윈난 성 내 추슝 자치주 위치 |
좌표 | 25.046° N, 101.528° E |
행정 중심지 | 추슝 시 |
면적 | 29,256 km² |
인구 통계 | |
2010년 총 인구 | 2,684,000명 |
GDP (2023년) | 총액: CN¥ 1763억 위안 (260억 미국 달러) 1인당: CN¥ 74,046 위안 (10,921 미국 달러) |
행정 | |
국가 | 중화인민공화국 |
성 | 윈난 성 |
식별 코드 | |
우편 번호 | 675000 |
지역 번호 | 0878 |
ISO 3166-2 | CN-YN-23 |
기타 | |
웹사이트 | 추슝 자치주 공식 웹사이트 |
2. 지리
윈구이고원(雲貴高原) 서부에 위치하며, 전중고원(滇中高原)의 일부를 이룬다. 동쪽은 쿤밍 시, 서쪽은 다리 바이족 자치주, 남쪽은 푸얼 시 및 위시 시, 북쪽은 쓰촨성 판즈화 시 및 량산 이족 자치주와 접하고 있다. 주 내에는 산악부가 펼쳐져 있으며, 90% 이상이 산지이다.
1949년 중화인민공화국 윈난성에 무정전구(武定専区)와 추슝전구(楚雄専区)가 설립되었다. 무정전구는 무정현(武定県), 곤명현(昆明県), 안녕현(安寧県), 라차현(羅次県), 부민현(富民県), 록권현(禄勧県), 원모현(元謀県)을 관할했고[4][5], 추슝전구는 추슝현, 쌍백현(双柏県), 진남현(鎮南県), 무정현(牟定県), 요안현(姚安県), 대요현(大姚県), 염풍현(塩豊県), 영인현(永仁県), 록풍현(禄豊県), 광통현(広通県), 염흥현(塩興県)을 관할했다.[4][5]
연평균 기온은 14.8°C~21.9°C이고, 1월 평균기온은 7.4°C, 6월 평균기온은 21.4°C이다. 연평균 강수량은 800~1000mm이고, 연일조시간은 2450시간이다.
3. 역사
1957년 추슝현 및 주변 현들이 추슝 이족 자치주로 편입되었다.[4][5] 이후의 자세한 연혁은 "연표" 하위 섹션에 상세히 나와있다.
3. 1. 연표
다음은 추슝 이족 자치주의 연표이다.[4][5]3. 1. 1. 무정전구(武定専区)
3. 1. 2. 추슝전구(楚雄専区)
1949년 10월 1일 중화인민공화국 운남성 추슝전구(楚雄専区)가 설치되면서 촉웅현(楚雄県), 쌍백현(双柏県), 진남현(鎮南県), 무정현(牟定県), 요안현(姚安県), 대요현(大姚県), 염풍현(塩豊県), 영인현(永仁県), 록풍현(禄豊県), 광통현(広通県), 염흥현(塩興県)이 발족하였다. (11개 현)[4][5]
1953년 3월 28일, 무정전구(武定専区) 소속의 원모현(元謀県), 무정현(武定県), 안녕현(安寧県), 라차현(羅次県), 록권현(禄勧県), 부민현(富民県)이 추슝전구로 편입되었다. (17개 현)[4][5]
1954년 6월 30일, 진남현(鎮南県)이 남화현(南華県)으로 개칭되었다. (17개 현)[4][5]
1956년 11월 16일, 안녕현(安寧県)이 곤명시(昆明市)로 편입되었다. (16개 현)[4][5]
1957년 10월 18일, 추슝전구 소속 현들이 추슝 이족 자치주(楚雄イ族自治州)로 편입되었다.[4][5]
3. 1. 3. 추슝 이족 자치주(楚雄イ族自治州)
1957년 10월 18일, 추슝 전구(楚雄专区)의 추슝현(楚雄县), 쌍백현(双柏县), 광통현(广通县), 염흥현(盐兴县), 록풍현(禄豊县), 부민현(富民县), 라차현(罗次县), 원무현(元谋县), 무정현(武定县), 록권현(禄劝县), 영인현(永仁县), 염풍현(盐丰县), 대요현(大姚县), 요안현(姚安县), 남화현(南华县), 무정현(牟定县)을 편입하여 추슝 이족 자치주(楚雄イ族自治州)가 설립되었다.[4][5] 당시 16개 현으로 구성되었다.
1958년 4월 4일, 염흥현(盐兴县)이 광통현(广通县)에 편입되었다.[4][5]
1960년 9월 13일, 행정구역 개편으로[4][5] 남화현(南华县)은 추슝현(楚雄县)에, 영인현(永仁县), 염풍현(盐丰县), 요안현(姚安县)은 대요현(大姚县)에, 라차현(罗次县), 광통현(广通县)은 록풍현(禄豊县)에 각각 편입되었다. 9월 22일에는 부민현(富民县)이 쿤밍시(昆明市)에 편입되어[4][5] 최종적으로 8개 현이 남았다.
1962년 3월 27일, 대요현(大姚县)의 일부가 분리되어 요안현(姚安县)과 영인현(永仁县)이, 추슝현(楚雄县)의 일부가 분리되어 남화현(南华县)이 다시 설치되면서[4][5] 11개 현이 되었다.
1965년, 1972년, 1974년 세 차례에 걸쳐 영인현(永仁县)의 일부가 쓰촨성 두구시(四川省渡口市)에 편입되었다.[4][5]
1980년 9월 11일, 록풍현(禄豊县)의 일부가 쿤밍시(昆明市) 안녕현(安宁县)에 편입되었다.[4][5]
1983년 9월 9일, 록권현(禄劝县)이 쿤밍시(昆明市)에 편입되고, 추슝현(楚雄县)이 추슝시(楚雄市)로 승격되면서[4][5] 1개 시, 9개 현이 되었다.
2021년 1월 20일, 록풍현(禄豊县)이 록풍시(禄豊市)로 승격되면서[4][5] 현재 추슝 이족 자치주는 2개 시, 8개 현으로 구성되어 있다.
《추슝주민족지》(楚雄州民族志, 2013:361)는[3] 추슝 이족 자치주 내 13개 이족 하위 집단과 그들의 자칭, 타칭, 인구 통계 정보를 다음과 같이 나열하고 있다.
아종족 | 자칭 | 타칭 | 인구 | 거주지 |
---|---|---|---|---|
로로 () | 로로푸 (), 로로루 (), 라루오푸 () | 백이족(白彝族|바이이족중국어), 디가족(底嘎族|디가족중국어), 가오산족(髙山族|가오산족중국어), 아루족(), 백자오즈족(白脚子|바이자오쯔족중국어) | 140,000 | 츠슝(楚雄|추슝중국어), 난화(), 야오안(姚安|야오안중국어), 다야오(大姚|다야오중국어), 옌펑(), 모딩(牟定|머우딩중국어), 옌싱(), 광퉁(), 슈앙바이() 등 |
리푸 (俚濮|리푸중국어) | 리푸 (俚濮|리푸중국어), 마치 () | 백이족(白彝族|바이이족중국어), 리족(黎族|리족중국어), 리족(栗族|리족중국어), 마치족() | 93,800 | 용런(永仁|융런중국어), 옌펑(), 다야오(大姚|다야오중국어), 위안모우(), 루취안(), 우딩(武定|우딩중국어) 등 |
누수 () | 니에수푸 () | 량산족(), 흑이족(黑彝族|헤이이족중국어), 만족(), 만산족() | 1,643 | 위안모우(), 용런(永仁|융런중국어), 우딩(武定|우딩중국어), 루취안() 등 |
나수 () | 나수푸 (), 니수푸 () | 흑이족(黑彝族|헤이이족중국어), 아처족(), 홍이족(), 루오우족() | 120,767 | 루취안(), 우딩(武定|우딩중국어), 푸민(富民|푸민중국어), 티안모우(), 광퉁(), 모딩(牟定|머우딩중국어), 슈앙바이() 등 |
산수 () | 산수루 () | 셰수(), 산수() | 37 | 슈앙바이() |
체수 () | 체수루 () | 치수푸 () | 2,769 | 슈앙바이() |
미사루 (米撒儒|미싸루중국어) | 미사루 (米撒儒|미싸루중국어) | 멍화(蒙化|멍화중국어), 투족(土族|투족중국어), 투자족(土家|투자족중국어) | 90 | 난화(), 야오안(姚安|야오안중국어) |
미치에푸 (米切濮|미체푸중국어) | 미치에푸 (米切濮|미체푸중국어) | 미차족(密岔族|미차족중국어) | 7,785 | 우딩(武定|우딩중국어), 루오치(), 푸민(富民|푸민중국어), 루취안() |
게수푸 () | 게수푸 () | 이족(彝族|이족중국어) | 6,753 | 옌펑(), 우딩(武定|우딩중국어) |
사니 (撒尼|싸니중국어) | 사니푸 (撒尼濮|싸니푸중국어) | 밍랑족(明朗族|밍랑족중국어) | 953 | 우딩(武定|우딩중국어), 루취안() |
수이 이족(水彝|수이이족중국어) | 포페이 () | 수이톈 백이족(水田白彝|수이톈바이이족중국어), 수이 이족(水彝族|수이이족중국어) | - | 다야오(大姚|다야오중국어), 용런(永仁|융런중국어) |
날루오 () | 날루오푸 (), 아루오푸 () | 간이족(干彝族|간이족중국어) | 8,522 | 우딩(武定|우딩중국어), 루취안(), 위안모우() |
게푸 (葛濮|거푸중국어) | 게푸 (葛濮|거푸중국어) | 간이족(甘彝族|간이족중국어) | 747 | 루취안(), 우딩(武定|우딩중국어) |
4. 행정 구역
추슝 이족 자치주는 2개의 현급시와 8개의 현으로 구성된다.[1]
이름 | 중국어 간체 | 한어 병음 | 인구 (2010) | 면적 (km2) | 인구밀도 (/km2) |
---|---|---|---|---|
추슝시 | 588,620 | 4482km2 | 131 | |
루펑시 | 422,770 | 3631km2 | 116 | |
솽바이현 | 159,867 | 4045km2 | 40 | |
머우딩현 | 208,726 | 1494km2 | 140 | |
난화현 | 236,138 | 2343km2 | 101 | |
야오안현 | 197,676 | 1803km2 | 110 | |
다야오현 | 273,315 | 4146km2 | 66 | |
융런현 | 109,304 | 2189km2 | 50 | |
위안머우현 | 215,795 | 1803km2 | 120 | |
우딩현 | 271,963 | 3322km2 | 82 |
4. 1. 현급시
추슝 이족 자치주는 1개의 현급시와 9개의 현을 관할한다.
- 현급시
- * 추슝 시(楚雄市)
- 현(県)
- * 솽바이 현(双柏县)
- * 머우딩 현(牟定县)
- * 난화 현(南华县)
- * 야오안 현(姚安县)
- * 융런 현(永仁県)
- * 위안머우 현(元谋县)
- * 우딩 현(武定县)
- * 루펑 현(禄丰县)
- * 다야오 현(大姚县)
이름 | 중국어 | 한어 병음 | 인구 (2010) | 면적 (km2) | 인구밀도 (/km2) |
---|---|---|---|---|
추슝시 | 588,620명 | 4482km2 | 131명 | |
루펑시 | 422,770명 | 3631km2 | 116명 | |
솽바이 현 | 159,867명 | 4045km2 | 40명 | |
머우딩 현 | 208,726명 | 1494km2 | 140명 | |
난화 현 | 236,138명 | 2343km2 | 101명 | |
야오안 현 | 197,676명 | 1803km2 | 110명 | |
다야오 현 | 273,315명 | 4146km2 | 66명 | |
융런 현 | 109,304명 | 2189km2 | 50명 | |
위안머우 현 | 215,795명 | 1803km2 | 120명 | |
우딩 현 | 271,963명 | 3322km2 | 82명 |
4. 2. 현
추슝 이족 자치주는 1개의 현급시, 9개의 현을 관할한다.
- 현급시
- * 추슝 시(楚雄市)
- 현(県)
- * 솽바이 현(双柏县)
- * 머우딩 현(牟定县)
- * 난화 현(南华县)
- * 야오안 현(姚安县)
- * 융런 현(永仁県)
- * 위안머우 현(元谋县)
- * 우딩 현(武定县)
- * 루펑 현(禄丰县)
- * 다야오 현(大姚县)
이름 | 중국어 | 한어 병음 | 인구 (2010) | 면적 (km2) | 인구밀도 (/km2) |
---|---|---|---|---|
추슝 시 | 588,620 | 4482km2 | 131 | |
루펑 시 | 422,770 | 3631km2 | 116 | |
솽바이 현 | 159,867 | 4045km2 | 40 | |
머우딩 현 | 208,726 | 1494km2 | 140 | |
난화 현 | 236,138 | 2343km2 | 101 | |
야오안 현 | 197,676 | 1803km2 | 110 | |
다야오 현 | 273,315 | 4146km2 | 66 | |
융런 현 | 109,304 | 2189km2 | 50 | |
위안머우 현 | 215,795 | 1803km2 | 120 | |
우딩 현 | 271,963 | 3322km2 | 82 |
5. 주민
2000년 인구조사에서 추슝의 인구는 2,542,530명, 인구밀도는 86.91km2이었다. 2010년 인구 조사 기준 추슝 이족 자치주의 인구는 2,684,000명이다.
5. 1. 민족 구성 (2000)
민족 | 인구 | 비율 |
---|---|---|
한족 | 1,714,851 | 67.45% |
이족 | 668,937 | 26.31% |
리수족 | 51,553 | 2.03% |
먀오족 | 41,077 | 1.62% |
다이족 | 20,514 | 0.81% |
후이족 | 20,189 | 0.79% |
바이족 | 15,251 | 0.6% |
하니족 | 5,376 | 0.21% |
기타 | 4,782 | 0.18% |
하니족의 하위 종족인 워니어()는 쌍백현과 추슝시에, 뤄몐()은 우딩현에 거주한다.[2] 백어는 달리의 백어와 다르지만, 서로 의사소통은 가능하다.
5. 1. 1. 이족
추슝 지역에는 다양한 이족 하위 집단이 거주한다. 로로, 리푸, 누수, 나수, 산수, 체수, 미사루, 미치에푸, 게수푸, 사니, 수이 이족, 날루오, 게푸 등이 있다.6. 교통
철도로는 쓰촨성 청두시와 쿤밍 시를 연결하는 청쿤선(成昆線)과 추슝 이족 자치주 광통과 다리 시를 연결하는 광다선(広大線)이 있다.
고속도로는 쿤다 고속도로(昆大高速道路)가 있다.
국도로는 G108国道, G320国道 등이 있다.
참조
[1]
서적
《云南统计年鉴-2023》
中国统计出版社
2023-12-00
[2]
웹사이트
武定县高桥镇尼嘎古村委会
http://www.ynszxc.go[...]
[3]
서적
楚雄彝族自治州民族志
Yunnan Nationalities Press (云南民族出版社)
[4]
웹사이트
县级以上行政区划变更情况
http://xzqh.mca.gov.[...]
[5]
웹사이트
云南省 - 区划地名网
https://www.xzqh.org[...]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